티스토리 뷰

반응형

결과

  • 싱글 스레드 환경에서 Vector는 ArrayList 대비 약 6배의 시간이 소요된다.
  •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Vector는 synchronized ArrayList 대비 약 1.3배의 시간이 소요된다.
  •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synchronized ArrayList은 Mutex.withLock ArrayList 대비 약 2.2배의 시간이 소요된다.
  • Vector 대신 ArrayList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원자적인 연산만 수행해야 한다.

 

본문

Java에는 배열을 사용한 List 구현체로 Vector와 ArrayList가 있다.

 

Vector는 모든 add, get, set이 synchronized로 작동하는 점이 ArrayList와 다르다.

Vector와 ArrayList와 충분한 capacity만 확보되어 있다면 random access와 \(O(1)\)의 시간복잡도로 tail insert가 가능하다.

Vector는 모든 동작에 synchronized 키워드가 사용되어 속도에 영향이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모든 동작이 synchronized할 이유는 없다고 한다.

Vector synchronizes on each individual operation. That's almost never what you want to do.

Stack OverFlow: Why is Java Vector (and Stack) class considered obsolete or deprecated?

 

  예를 들어 더 이상 수정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읽기 접근만 존재한다면 각 thread가 모두 비동기적으로 접근하는 편이 훨씬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내용 수정이 수행되는 상황에서 읽기가 수행되어야 한다면 적절한 동기화가 필요하므로 일일히 synchronized 블럭을 선언하는 것도 번거로울 뿐더러 교착 상태의 위험까지 수반될 수 있다.

 

  테스트는 두 방법으로 수행된다.

  1. 싱글스레드
    - N=데이터의 수
    - 각 자료구조에 N번 add의 시간을 측정한다.
    - N개의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각 자료구조에 N번 get의 시간을 측정한다.
  2. 멀티스레드
    - N=데이터의 수, M=Thread의 수
    - 각 자료구조에 N * M번 add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Vector는 직접 add를 호출하고 ArrayList는 synchronized 블럭에서 add를 수행한다.
    - N개의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각 자료구조에 N * M번 get의 시간을 측정한다.

테스트

  • N=10,000,000, 단위: ms
시행 Vector ArrayList
  add get add get
1 282 199 119 47
2 259 198 113 40
3 225 183 116 33
4 253 165 111 36
5 251 169 113 29
6 254 171 117 28
7 263 177 114 30
8 246 180 116 34
9 244 173 109 30
10 210 181 122 30
MIN 210 165 109 28
MAX 280 199 122 47
AVERAGE 248.7 179.6 115 33.7
MEDIAN 252 178.5 115 31.5

 

  • N=100,000,000, 단위: ms
시행 Vector ArrayList
  add get add get
1 3239 1853 1513 373
2 3051 1848 1454 319
3 2607 1838 1491 313
4 2671 1807 1563 299
5 2544 1798 1575 322
6 2500 1831 1613 322
7 2512 1801 1559 291
8 2571 1842 1573 297
9 2520 1757 1458 286
10 2504 1734 1469 298
MIN 2500 1734 1454 286
MAX 3239 1853 1613 373
AVERAGE 2671.9 1810.9 1528.8 312
MEDIAN 2557.5 1819 1536 306

  먼저 싱글 스레드에서 실행 결과다. 두 자료구조 모두 충분한 capacity를 할당한 후 삽입한다면 데이터 수에 비례한 시간 소요를 보였다(\(=O(N)\)). 예상할 수 있듯 Vector는 모두 synchronized 작동을 수행하므로 싱글 스레드에서 압도적으로 불리한 결과를 보인다.  그렇지만 Vector에서 임의 접근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ArrayList에 삽입하는 시간보다도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rayList의 get은 사실상 배열의 get과 call stack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같으므로 어디에나 사용할 수 있는 충분히 적은 시간으로 완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자료구조가 단순히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사실만으로 시간 복잡도의 계수를 무시하고 '어떤 thread에서나 동기화된다'는 장점만으로 접근하는 것을 시작으로 약 6배의 시간 차이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N=1,000,000, M=8, 단위: ms
시행 Vector ArrayList(synchronized) ArrayList(Mutex)
  add get add get add get
1 866 888 644 672 279 191
2 546 701 504 641 228 163
3 711 408 461 416 249 167
4 650 624 443 423 228 168
5 806 677 444 410 236 163
6 534 711 447 423 228 171
7 871 625 462 412 241 165
8 538 626 452 416 232 165
9 536 793 445 423 237 174
10 483 513 443 401 230 166
MIN 483 408 443 401 228 163
MAX 871 888 644 672 279 191
AVERAGE 654.1 656.6 474.5 463.7 238.8 169.3
MEDIAN 598 651.5 449.5 419.5 234 166.5

 

  • N=10,000,000, M=8
시행 Vector ArrayList(synchronized) ArrayList(Mutex)
  add get add get add get
1 6896 8077 7746 7468 3702 1839
2 4624 7706 5525 7189 2920 1825
3 8887 7194 5563 5694 2836 1856
4 6402 7752 5518 5741 2947 1735
5 6387 6541 5472 5449 3344 1755
6 7250 5189 5440 5916 3029 1754
7 7599 6924 5530 5564 2946 1783
8 8754 7533 5551 5174 3107 1732
9 7342 7121 5450 4436 3126 1716
10 6961 7551 5394 5524 3122 1742
MIN 4624 5189 5394 4436 2836 1716
MAX 8887 8077 7743 7468 3702 1856
AVERAGE 7100.2 7158.8 5718.6 5815.2 3107.9 1772.7
MEDIAN 7105.5 7363.5 5521.5 5629 3068 1754.5

  8개의 thread에서 실행한 결과다. 서로 다른 스레드가 자원을 점유하기 위해 경쟁하고 thread context switching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의 영향으로 싱글 스레드에서보다 훨씬 긴 시간이 소요된다. Vector의 구현 의도대로 싱글 스레드에서의 실행처럼 ArrayList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ArrayList 대비 약 1.3배의 차이로 격차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지만 1000만개의 데이터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크기이고, 백엔드 서비스의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캐싱같은 기능이 초 단위의 차이를 보인다면 직접 synchronized 블럭에서 ArrayList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또한 get 메소드 호출이 훨씬 빈번하고, 호출이 thread safe함이 보장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결국 ArrayList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주목되는 차이는 Kotlin coroutine에서의 수행 시간이다. Thread와 공정한 비교를 위해 모든 coroutine context를 newSingleThreadContext로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적은 시간에 작업이 완료된다. Kotlin에서의 Thread pool 관리로 context swiching 오버헤드가 줄어 생긴 차이로 보이나 정확한 구현을 찾기는 어려웠다.

 

결론

  Vector는 느리다. 모든 호출에서 synchronized(this)를 선언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원치 않는 상황에서 조차 동기화가 이뤄진다. 따라서 필요에 따른 synchronized 블럭에서의 연산이 가능하다는 점과 모든 연산을 synchronized 블럭에서 수행할 때 조차 ArrayList가 빠르다는 점은 더욱 Vector의 사용을 피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Vector는 언제 사용할까? 일일히 synchronized 블럭을 사용하기 귀찮을 때보다는 서로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이 명백하고, 내용의 수정과 조회가 순서없이 발생할 수 있을 때라면 고려 대상에 포함할만 하다. 또, synchronized 블럭을 직접 선언하고 critical section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완벽히 하나의 작업만 수행할 수 있다면 다행이겠지만,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에 따라 다른 함수를 호출하거나 다른 변수에 접근할 수도 있다. 그 동작이 동기화를 필요로 한다면 환형 대기 상태로 교착 상태에 빠질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ArrayList의 메소드 호출이 또 다른 동기화에 의존적이라면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고, 차라리 Vector를 사용하는 편이 나을 수 있다. 그리고 Java Stack의 사용을 피할 수 없다면 이미 Vector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테스트 환경

JDK: 17.0.5

JVM: 17.0.5

JVM Option: -Xms4096m -Xmx4096m

Kotlin: 1.8.0

Kotlin coroutine: 1.6.4

CPU: Intel Core i9-9880H (8C, 16T)

 

 

반응형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or Pipeline, PipelinePhase  (0) 2023.08.26
Nullable value class: Long? long?  (1) 2023.05.07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